Outline



◆ 研究概要




◆ 연구개요

    한국과 일본의 대도시에서는 급격한 도시화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공간의 외연적 확산을 가져오는 신도시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아울러 지방 중소도시에 있어서도 새로운 주택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교외지역에 신시가지를 조성함으로서, 도시의 공간구조가 확산형으로 변질되고 있다. 확산형 도시구조는 불필요한 통근 통학교통을 유발하여 환경부하를 증가시키며, 기성시가지의 도로, 공원, 학교, 전기, 가스, 주택 등의 스톡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한다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인구감소시대에 접어들었고, 우리나라의 경우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이어서 인구감소의 속도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통계청의 보고에 의하면 2020년에 4,996만명을 피크로 하여, 2070년에는 3,123만명으로 무려 40%정도의 인구감소가 예측되고 있다.

    또한 공장의 해외이전, 유휴농지의 증가, 교외형 상업시설의 증가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산업구조 전환에 따른 토지이용의 급변과 중심시가지의 쇠퇴는 더욱 진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구감소시대에 접어든 현 시점에서는, 확산형 도시공간구조보다는 기존 도시에서의 스톡 활용과 교통통행량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에너지절감형 도시공간구조, 컴팩트 시티(Compact City) 및 대중교통지향형 개발(TOD)등에 대한 논의가 복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동향은 크게 기성시가지의 쇠퇴현상과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도시자족성에 관한 연구, 환경친화적 도시공간구조의 분석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컴팩트 시티(Compact City) 및 대중교통지향형 개발(TOD)에 관한 연구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환경부하가 작은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의 도시공간구조 규명, 수요축소구조에 대응하는 다운사이즈형의 기존시가지 스톡의 유효활용방안 등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한일비교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환경친화형 도시공간구조의 모색
    ・ 공간구조의 확산에 의해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 분석
    ・ 에너지절감형 도시공간에 관한 이론적, 실제적 접근방안 연구
    ・ 인구감소시대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컴팩트씨티로의 전환 방향 연구

    ② 도시스톡 축소 가능성 모색
    ・ 일정 기준에 의해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기초자료 수집
    ・ 빈땅 및 빈집의 증가와 당해 지역의 쇠퇴현상에 대한 조사
    ・ 도시스톡에 대한 재평가 방법, 컨버젼 및 규모축소 등 도시스톡의 재생방안 연구

    ③ 도시공간의 컴팩트화에 상응하는 대중교통 스톡의 효율적인 이용방안 모색
    ・ 대중교통 네트워크와 도시공간구조의 상응상태 분석
    ・ 자동차가 아닌 대중교통을 이용했을 때의 편익(시간절약, 에너지 소비절감, 이산화탄소발생량 감소 등) 측정




◆ Summary

    Most cities in Japan and Korea have been progressed along with urbanization and the diffusion of urban structure. However, in Japan, the decrease of 32.6 million people will expect in 2050 that received age of a declining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on the boundary of 2005.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decrease birthrate is recorded a value that is lower than Japan. Thus, the population is expected the peak by 49.96 million in 2020, and decreases from the peak up to 31.23 million people by about 40% in 2070. On that score, most Japanese and Korean cities are going to face the problems of shrinking urban areas in near future, with the rapidly aging of society. In addition, drastic conversion of land use has been in progress in most cities, such as the trend of shifting production plants overseas, the increase in fallow land, and the prevailing large-scale suburban shopping malls. Furthermore, both old downtown areas and planned residential areas in the suburbs are declining. Fiscal crisi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expected to become worse. In order to make the coming shrinking cities sustainable, the new necessary policies in Japan should not be based on the old development policies of the high-growth period, but on the policies of conversion or downsizing of existing building stocks. Governments are also expected to distinguish sustainable cities from other shrinking cities of relinquishing regeneration, in order to concentrate the limited resources on the screened targets. At this point of time, various researches are necessary to making provisions for the shrinking er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ur-folds: (1) pursuing desirable urban spatial structure for applying the notion of sustainable compact city with low level environmental burden, (2) investigating availability and practical use of downsizing-type existing urban stock, (3) examining effective use of existing public transportation stock corresponding to making cities compact, (4) making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Japan and Korea which share various problems originate from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